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재명 대통령 후보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

by 오늘읽을거리 2025. 5. 7.
반응형

이재명 대통령 후보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


서울고법이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파기환송심 재판을 대통령 선거 이후인 2025년 6월 18일로 연기했습니다. 공정한 재판과 균등한 선거운동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합니다.

※ 대장동 재판도 6월 24일로 연기가 되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후보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

재판 연기 결정 배경

2025년 5월 7일, 서울고등법원 형사7부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한 파기환송심 첫 재판을 대선 이후로 연기한다고 밝혔습니다. 애초 예정됐던 첫 공판은 5월 15일이었으나, 6월 18일 오전 10시로 변경되었습니다.

  • 대선 후보의 균등한 선거운동 기회 보장
  • 재판의 공정성 논란 방지
  • 헌법 제116조 및 공직선거법 제11조 고려

핵심 쟁점 정리

쟁점 내용
공판 연기일 2025년 6월 18일 오전 10시
이유 선거운동 기회 보장 및 공정성 확보
적용 법령 헌법 제116조, 공직선거법 제11조
예상 영향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가능성 (헌법 제84조)

이재명 후보의 혐의 및 재판 과정 요약

  • 2021년 12월, 김문기 처장을 모른다고 발언
  •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협박 주장
  • 1심: 유죄 판결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 2심: 무죄 판결 (의견 표명으로 판단)
  • 대법원: 2심 판단 법리 오해 → 유죄 취지 파기환송

헌법과 공직선거법 상 쟁점

이번 재판 연기 결정은 다음 두 가지 법 조항에 근거합니다.

  1. 헌법 제116조 제1항: "선거운동은 각급 선거관리위원회의 관리 하에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
  2. 공직선거법 제11조: "선거운동 기간 중에는 대선 후보를 체포·구속할 수 없다."

또한 헌법 제84조에 따라 이재명 후보가 당선될 경우, 대통령 재임 중에는 형사소추가 제한되므로 재판 중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치적ㆍ법적 파장

이번 재판 연기는 법적 정당성과 정치적 논란이 얽힌 복합적인 상황입니다. 주요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치권 일각: 재판 일정 변경이 정치적 고려라는 비판과 우려 제기
  • 대법원: 유죄 취지 파기 이후 빠른 절차 진행으로 공정성 논란으로 비판을 받던 입장이었음
  • 이재명 후보 측: 헌법상 선거운동 권리 보장을 강조
  • 서울고법: 외부 간섭 없이 헌법과 법률에 따른 독립적 판단 강조

정리

재판이 대선 이후로 연기되면서, 선거와 재판의 경계를 명확히 하려는 헌법적 원칙에 부합하는 결정입니다.
헌법 116조는 후보자의 ‘균등한 선거운동 기회’보장하고 있으며, 공직선거법 11또한 선거운동 기간 중의 체포 구속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번 재판 일정 조정은 단순한 시간 연기가 아니라, 선거의 공정성과 국민의 선택권을 보호하기 위한 헌법적 판단입니다.
법원이 밝힌 대로 재판부는 어떠한 외부 영향도 받지 않고 오로지 헌법과 법률에 따라 독립적으로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법치주의 실현을 위한 제도적 신뢰 확보일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재명재판기일 연기#재판연기#파기환송심#공직선거법#서울고법#대선재판연기#헌법제84조#공직선거법제11조#선거공정성#형사소추금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