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 후 절차

by 오늘읽을거리 2025. 5. 1.
반응형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 후 절차



1. 사건 송부

  • 대법원이 판결문과 기록을 서울고등법원으로 송부함
  • 일반적으로 판결 선고일로부터 1~2주 이내에 완료됨

2. 서울고법의 환송심 재판부 배당

  • 고법 내부에서 새로운 재판부가 배정됨 (기존 2심 재판부와 다를 수 있음)
  • 판사 구성에 따라 판결 분위기가 달라질 수도 있음

3. 환송심 재개

  • 정식 공판 개시
  • 검찰과 피고인 측(이재명 측) 모두 대법원의 판단을 반영한 새 쟁점을 중심으로 변론 준비

4. 변론 및 증거 재조사

  • 필요한 경우 증인신문, 추가 자료 제출 등 진행
  • 다만 대법원이 이미 법리적 판단을 내렸기 때문에, 새로운 사실 판단보다는 해석과 적용이 핵심이 됨

5. 환송심 판결 선고

  • 고법에서 최종 판결 (유죄/무죄)
  • 이 판결은 다시 대법원에 상고 가능 (단, 재상고심은 제한적)

정치적 시사점

  • 형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피선거권은 유지
  • 환송심 결과가 선거 시기와 맞물리면 큰 변수 가능성 존재
  • 법적으로 ‘무죄 추정의 원칙’은 여전히 적용 중

대법원이 문제 삼은 핵심 쟁점 요약


대법원의 판단: "2심이 법리를 잘못 적용했다"

  • 2심은 "김문기 씨를 몰랐다는 발언은 행위가 아니라 인식 표현이라 허위사실 공표가 아니다"라고 봄
  • 대법원은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1항은 '행위'뿐 아니라 '사실 일반'도 포함한다"고 봄 → 즉, 인식 표현도 사실에 대한 왜곡이면 처벌 가능하다는 입장

핵심 논점 2가지

쟁  점 대법원 판단 2심 판단 쟁점 요약
김문기 발언 인식도 허위 사실에 포함 가능 인식 표현은 비처벌 허위 인식의 공표도 처벌 대상인가
국토부 협박 발언 선거인의 판단을 오도할 수 있음 과장된 표현일 뿐 과장 표현도 허위사실로 볼 수 있나

환송심에서의 전략 분석

검찰 측 전략

  • 대법원 판단을 근거로
    • “김문기 발언은 이재명 후보의 인식 자체가 허위”였음을 강조
    • “김문기를 몰랐다는 발언은 객관적으로 사실에 반함” → 유죄 주장을 강화할 것
  • 증거나 정황(사진, 보고자료 등)을 다시 활용

예측: 공직선거법 제250조를 넓게 해석한 대법원 논리를 그대로 따를 것


이재명 후보자 측(변호인단) 전략

  • 핵심은 여전히 “표현의 자유” vs “허위사실 공표”의 경계
  • 대법원 다수 의견(9명)은 ‘허위 인식도 공표죄에 포함’이라고 봤지만, 소수 의견 2명은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한다”고 반대함

이재명 후보자  측이 할 수 있는 주장

  • “선거인의 판단을 실질적으로 왜곡할 만큼의 중대성은 없다”
  • “정치적 발언과 사적 인식은 구분돼야 한다”
  • “대화 맥락상 단편적 발언만을 문제 삼는 건 부당”

예측: 헌법적 가치(표현의 자유, 선거 운동의 자유)를 내세운 방어 전략 강화 예상


전략 정리

구   분 전략 방향
검찰 대법원 판단을 기준 삼아 유죄 입증 재시도
이재명 측 표현의 자유, 선거 발언의 맥락성 강조하며 무죄 주장 재확인
환송심 재판부 대법원 취지 반영하되, 형량/중대성/선거 영향력 여부에 따라 판단

전망

  • 형이 확정되면 피선거권 상실 (금고 이상 형량 → 5~10년 제한)
  • 정치적 논쟁과 법리 판단이 교차하는 사건
  • 헌재 또는 대법원 재상고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