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여권 파워 하락, 39위
여권 순위라고 하면, 보통 ‘비자 없이 갈 수 있는 나라가 몇 개인가’를 떠올리게 됩니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여권 파워 순위에서 한국 여권의 위상이 눈에 띄게 하락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노마드 캐피탈리스트(Nomad Capitalist) 여권 파워 지수
2025년 발표된 노마드 캐피탈리스트(Nomad Capitalist)의 여권 파워 지수에서 한국은 무려 39위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 11위 |
2023년 | 32위 |
2025년 | 39위 |
단순 변동이 아니라 5년간 28계단 하락, 지속적인 하락세라는 점이 더 주목받고 있어요.
헨리앤파트너스 순위
헨리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 기준으로는 한국은 여전히 상위권이에요.
2025년 기준 | 192개국 무비자 입국 가능 세계 공동 3위 |
평가 결과가 다른 이유는, 여권의 힘을 판단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여권 순위 측정 방법
1. 노마드 캐피탈리스트(Nomad Capitalist) 지수 기준
평가 항목 | 비중 |
무비자 입국 국가 수 | 50% |
세금 정책 | 20% |
이중국적 허용 여부 | 10% |
국제적 평판 | 10% |
개인의 자유도 | 10% |
→ 이 지수는 여행용이 아니라, 해당 여권을 가진 사람이 얼마나 자유롭고 유리한 조건으로 전 세계에서 살아갈 수 있는가를 평가합니다. 즉, 단순 여행 편의성 외에도 삶의 자유, 자산 이동, 세금 전략, 글로벌 신뢰도까지 폭넓게 평가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었을 수 있을까?
항목 | 가능성 있는 영향 |
개인의 자유도 | 정치적 표현, 언론자유, 시위에 대한 대응 등에서 점수 하락 가능성 |
국제적 평판 | 외교 갈등, 국제사회 내 이미지 손상 (후쿠시마, 외교 실수 등) |
세금 정책 | 자산가 이동성·세제 유연성 낮음 → 점수 유지 혹은 하락 |
국내 갈등/사회 신뢰 | 내홍이 많을수록 해외 투자자나 평가지표에서 "불안정한 환경"으로 간주될 수 있음 |
2. 헨리 여권 지수 기준
구 분 | 내 용 |
평가 요소 |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수 |
초점 | 여행 편의성 |
특징 | 단순하지만 ‘이동의 자유’만 평가 |
그래서 단순 여행 기준으로는 한국 여권이 강력하게 보일 수 있어요.
타국 여권의 부상: UAE, 룩셈부르크, 몰타, 아일랜드, 스위스 등이 디지털 노마드나 자산가들의 선호 국가로 부상하면서 상대적으로 밀렸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우리가 참고할 점은?
- 여행용으로는 여전히 강력한 한국 여권 190개국 이상을 비자 없이 여행할 수 있어요.
- 하지만 국제 거주, 자산 이동, 이민 전략 관점에서는 자유도가 낮게 평가되고 있어요.
- 여권 파워는 여행뿐 아니라, 삶의 이동성과 자유를 포괄하는 지표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 참고 사이트
Nomad Capitalist Passport Index 2025
South Korea Passport Rank - Nomad Passport Index | Nomad Capitalist
Global Citizen Best Countries to Relocate to for World-Class Healthcare Healthcare is fast becoming a relocation dealmaker or dealbreaker for many global investors. In the past, high-net-worth individuals (HWNIs) have focused on tax efficiency, residency o
nomadcapitalist.com
Passport Index
The Henley Passport Index is the original ranking of all the world’s passports and the only passport index that is based on IATA data. Find out more.
www.henleyglobal.com
한국여권순위, 여권파워지수, 노마드캐피탈리스트, 헨리여권지수, 여권파워하락, 이중국적제한, 세금정책, 국제자유도, 정치평판, 여행자유, 자산이동성, 윤정부정책, 국제순위변동, 여권순위비교